8 - Regular Expression (ε-NFA)
2021. 7. 15. 00:41ㆍ개발 관련 학습정리/컴파일러 만들기 (이론)
반응형
오토마타 경우의 수중에 ε는 아무 조건 없이 갈 수 있는 경우를 말한다.
이 경우를 묶어서 ε-closure라고 부른다.
ε - NFA 예시
1에서 epsilon을 통하여 무조건 갈 수 있는 경우를
e-closure(1)이라고 표현합니다.
closure(1)일때 a가 주어지면 2로 가게되고 2에서는 epsilon으로 갈 수 있는 곳이 없기 때문에
자기 자신 closure(2)가 됩니다.
c가 주어진다면 3으로 이동하게 되고 3에서는 epsilon으로 4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closure(3)이 되고 자기 자신과 4를 포함한 [3,4]가 됩니다.
이 방법은 DFA로 변환할 때 2의 n승 만큼 터미널을 만드는게 아니라 e-closure를 통해 epsilon으로 갈 수 있는
터미널들을 정의하고 직접 가보면서 DFA를 정의하는 개념이다.
반응형
'개발 관련 학습정리 > 컴파일러 만들기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 - Convert Grammer <-> Finite Automata (0) | 2021.07.18 |
---|---|
9 - Regular Language (DFA State Reduction) (0) | 2021.07.16 |
7 - Regular Language (NFA) (0) | 2021.07.14 |
6 - Regular Language (Finite Automata) (0) | 2021.07.12 |
5 - Regular Language (Regular Expression) (0) | 2021.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