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필기 노트/컴퓨터 구조(7)
-
주기억 장치 (RAM, ROM)
ROM 읽기만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이다. PROM 사용자가 한 번만 내용을 기입할 수 있으며, 지울 수는 없다. EPROM 전기적 특성을 통하여 기록된 정보의 일부를 변경할 수 있다. EEPROM 전기적 특성을 통하여 기록된 정보를 여러 번 지우고 다시 사용 가능하다. RAM 읽고 쓰기가 자유로운 휘발성 메모리이다. DRAM 주기적인 Refresh가 필요하며, 주기억장치에 적합하다 소비 전력이 낮고 회로가 간단하여 집적도가 높다. 가격이 저렴하고 콘덴서에서 사용한다 SRAM Refresh가 필요하지 않고 액세스 속도가 빨라 캐시 메모리에 적합하다 소비 전력이 높지만 구성 회로가 복잡하여 집적도가 낮다. 가격이 비싸고 플립플롭으로 구성되어 있다.
2020.10.13 -
인터럽트의 종류와 동작 원리
인터럽트 외부 인터럽트 전원 이상 인터럽트 - 정전 또는 전원 이상이 있는 경우 발생한다. 기계 착오 인터럽트 - CPU의 기능적인 오류 동작이나 고장 시 발생한다. 외부 신호 인터럽트 - 타이머에 이해 규정 시간을 알리는 경우, 키보드 입력, 외부 장치의 요청이 있는 경우 발생한다. 입출력 인터럽트 - 데이터 오류가 발생한 경우나, 전송이 끝났음을 알릴때 발생한다. 내부 인터럽트 명령어 잘못 인터럽트 - 프로그램에서 명령어를 잘못 사용한 경우 발생한다. 프로그램 검사 인터럽트 - 오버플로, 언더플로, 0으로 나누는 연산, 접근 금지 공간에 접근했을때 발생한다. 소프트웨어 인터럽트 SVC 인터럽트 - 사용자가 Supervisor Call 명령을 써서 의도적으로 호출할 경우 발생한다. 인터럽트 동작 원리 ..
2020.10.09 -
CISC, RISC, EISC 그리고 제어장치
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 연산에 처리되는 복잡한 명령어들을 수백개 이상 탑재하고 있는 프로세서이다. 고급언어에 각각 기계어를 대응시킨 회로로 구성된 중앙처리장치이다. 많은 명령어를 제공하므로 프로그래머가 작업하기 용이하며, 마이크로 코드 설계가 어렵다. 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실행 속도를 높이기 위해 복잡한 처리는 소프트웨어에게 맡기고, 명령 세트를 축소한 컴퓨터이다. 단순 기능의 명령어 집합과 주소 지정 방식을 최소화하여 제어장치가 간단하다. 속도가 빠른 그래픽 응용분야에 적합하므로 워크스테이션에 주로 사용된다. Extensible Instruction Set Computer 임베디드 프로세서용 RISC 기반 명령어 집합이다. RIS..
2020.10.09 -
자료 표현 (BCD코드, 패리티, 아스키코드)
BCD코드 대표적인 가중치 코드로 2진화 10진 코드라고도 한다. 6비트로 구성되며 64가지의 문자를 표현할 수 있다. 숫자를 표현할 경우에는 4비트, 문자를 표현할 땐 6비트를 사용한다. 아스키 코드 미국 정보 교환 표준 코드로 데이터 통신 및 마이크로컴퓨터에서 주로 사용된다. 7비트로 표현되며, 128가지의 문자를 표현한다. EBCDIC코드 주로 컴퓨터에서 정보 처리 부호로 사용되며, 확장 이진화 10진 코드라고도 한다. 8비트로 구성되며 256가지 문자를 표현할 수 있다. 8비트중 왼쪽 4비트는 존비트, 나머지 4비트는 디지트 비트로 구성된다. 유니코드 전 세계의 문자를 컴퓨터에서 표현하기 위하여 설계된 코드이다. 일반 유니코드는 2바이트 이므로 65536개의 문자를 표현할 수 있다. 한글과 한자 ..
2020.10.09 -
부동 소수점 표현
고정 소수점 자료형 정수부와 실수부로 비트를 나누어 표현하며, 실수 부분을 정수 형태처럼 표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일부 비트를 실수부로 써야 하기 때문에 표현할 수 있는 범위가 적어진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부동 소수점 자료형 위와 같이 표현범위가 적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진 표현 방식으로, 지수부, 가수부로 나누어 표현합니다. 가수부에 12345를 저장하고, 지수부에 10^-3이라는 값을 저장하면 12.345라는 값을 도출시키는 방법입니다. 표현 비트가 늘어나면서 더 많은 소수점을 기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2020.10.09 -
조합 논리 회로와 플립플롭
반가산기 1비트 2진수 2개를 덧셈한 합과 자리 올림수를 구하는 논리회로로 1개의 XOR, AND로 구성된다. 전가산기 뒷자리에서 올라온 자리올림수를 포함하여 1비트짜리 2진수 3자리를 더하여 합과 자리올림수를 구한다. 2개의 반가산기와 1개의 or게이트로 구성된다. 디코더 n개의 입력 회선이 있을때, 2^n개의 출력선 중 하나로 출력하는 회로로, and게이트로 구성된다. 인코더 디코더와 반대로 2^n개의 입력이 있을때 n개의 출력선중 하나로 출력하며, or 게이트로 구성된다. 멀티플렉서 2^n개의 입력 신호 중에서 n개의 선택선 중에서 하나의 입력 신호를 선택하여 단일 출력선으로 전송한다. 디멀티플렉서 하나의 입력선으로 입력 신호 n개의 선에 의해 2^n 출력선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플립플롭 ..
2020.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