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3)
-
6. 전송계층 프로토콜
전송계층 프로토콜 개념 전송 계층 프로토콜은 종단 호스트 간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전송해 주는 역할을 한다. TCP TCP는 TCP/IP모델에서 응용계층과 네트워크 계층 사이에 존재하며, 두 응용계층 사이의 프로세스간 통신을 제공한다 흐름제어 데이터 패캣을 전송할 때 수신한도를 넘는 과도한 패킷의 입력으로 분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흐름 양을 조절하는 것을 흐름제어라고 한다. 오류제어 전송 도중 발생한 부호오류를 검출하고, 정확한 정보를 재현하는 기술 혼잡 제어 단위 시간당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패킷의 수를 나타내는 네트워크 부하가 용량을 초과할 시 부하가 생기고, 이러한 혼잡을 제어하기 위하여 혼잡 제어를 한다. TCP 프로토콜 TCP 프로토콜에서 사용하는 헤더 포맷은 다음 그림과 같다. 소스 포트 주소 세..
2021.04.01 -
1. 네트워크 개념
프로토콜 프로토콜이란 네트워크를 통하여 뎅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표준화된 통신 규약이다. 수많은 PC와 서버들이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서는 서로 이해할 수 있는 공통의 프로토콜이 필요하다. OSI 참조 모델과 TCP/IP 프로토콜 계층 구조 OSI 참조 모델 물리계층 : 물리적 매체를 통해 실제로 비트의 흐름을 전송 데이터링크 계층 : 오류 없이 홉간 프레임을 전달 네트워크 계층 : 발신지로부터 목적지까지 네트워크간 패킷 전송을 지원 전송 계층 : 종단 프로세스 간 신뢰성 있는 메시지 전송 세션 계층 : 통신 세션을 구성하고 상호작용을 유지, 동기화한다 표현 계층 : 두 시스템간 교환되는 정보의 구분, 암호화 응용 계층 :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베이스 관리 등 서비스 제공 인터넷 주소 체계 MAC ..
2021.03.21 -
인터넷 프로토콜과 서버
TCP/IP 가장 기본적인 프로토콜로 네트워크에서 연결된 시스템 간의 데이터를 전송한다. TCP - 전송 계층에 해당하며, 전이중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신뢰성과 보안성이 우수하다 IP - 비연결형 프로토콜 방식을 사용하며, 네트워크 계층에 속한다 HTTP WWW를 이용할 때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 프로토콜이다. 웹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통신을 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ARP ip주소를 물리적 네트워크 주소로 대응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ip주소만 알고 맥주소를 모르는 경우 ip주소로부터 맥주소를 찾는다. RARP 네트워크상에서 물리적 네트워크 주소(맥주소)를 ip주소로 대응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ip주소를 모르는 경우 서버로 부터 요청한다. NNTP 뉴스 그룹에 있는 글을 관리하기 ..
2020.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