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3)
-
12. 데이터베이스 종류
주요 데이터베이스 유형 계층형 데이터베이스 상하 종속적인 관계의 트리 형태로 계층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데이터 사용량을 쉽게 예측할 수 있지만, 업무 프로세스에 대한 적응이 '쉽지 않음' 네트워크형 데이터베이스 계층형 데이터베이스의 트리 형태를 망형태로 확장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다대다 관계를 유지하고 데이터 연결을 위하여 포인터를 사용한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계형 데이터모델에 기반한 데이터베이스로 Oracle, SQL등 현재 상용화되어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 객체지향 데이터베이스 객체 모델에 기반하여 정보를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객체관계 데이터베이스 특징 사용자정의 데이터타입 지원 : 사용자가 직접 데이터타입 정의 가능 참조 타입 지원 : 하나의 레코드가 ..
2021.03.12 -
1. 데이터베이스 개념과 구조
데이터의 이해 1. 데이터 : 데이터는 현실세계에서 발견, 창작을 통한 기초자료 그대로를 말한다. 2. 정보 : 정보는 데이터를 목적에 맞게 분류한 형태를 말한다. 3. 지식 : 수많은 구체화된 정보로부터 관계를 해석하고 연구하는 과정에서 생성된다. 데이터 처리 유형 일괄 처리 시스템 - 데이터를 일정기간 모아서 한꺼번에 처리함. - 시스템 중심 처리방법 온라인 처리 시스템 - 데이터가 컴퓨터로 전송되는 즉시 처리하는 방식 - 사용자 중심 처리방법 분산 처리 시스템 - 지리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처리기와 DB를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처리하는 방식 - 클라이언트 / 서버 형태로 운영 데이터베이스의 이해 파일처리시스템의 개념과 특징 각 개별 응용프로그램이 자신이 처리할 개별적인 파일을 통해 검색, 입력, 삭제 ..
2021.02.22 -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
트랜잭션의 정의 - 상태를 일관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병행 수행 제어 및 회복의 단위 - 하나의 트랜잭션은 완료(COMMIT)되거나 복귀(ROLLBACK) 되어야 한다. COMMIT : 트랜잭션 실행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연산 수행된 결과들이 물리적 디스크로 저장된다. ROLLBACK : 트랜잭션 실행이 실패하였음을 선언하는 연산 수행한 결과를 원래 상태로 되돌린다. 특성 원자성 : 트랜잭션의 연산은 모두 반영하던지 아니면 전혀 반영되지 않아야 한다. (All or Nothing) A가 수행되는 동안 B는 A가 지금까지 수행한 중간 결과를 참조할 수 없다. 일관성 : 트랜잭션 실행 후 DB의 상태는 무결성이 유지되고, 모순되지 말아야 한다.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요소는 트랜잭션 전과 후 결과가 ..
2020.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