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클라우드 컴퓨팅

2021. 10. 3. 20:07Topcit 정리/기술 영역 - 네트워크 이해와 활용

반응형

클라우드 컴퓨팅 정의

클라우드 컴퓨팅은 개별 서버마다 남아도는 기업의 컴퓨터 용량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불확실한 서비스의
수요에 대처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클라우드 서비스

  • 사용자 중심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을 제공하는 서비스

클라우드 컴퓨팅

  • 가상화와 분산처리 기술로 it 자원을 임대하고 사용한 만큼 요금을 지불하는 컴퓨팅 환경

클라우딩 컴퓨팅 유형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IaaS는 인테넷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인프라 자원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가상화 환경을 통하여 제공되지만 가상화가 필수 요건은 아니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기존의ㅣ 서비스 업체에서 서버를 호스팅 받는 것과 유사하다.

Paas (Platform as a Service)

개발 및 운영 환경을 구축할 필요 없이 필요한 개발 및 운영 환경을 서비스 형태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네트워크부터 런타임까지 제공하며 사용자의 관리 범위는 그 위의 애플리케이션이다

SaaS (Software as a Service)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 소프트웨어를 웹브라우저 등의 클라이언트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SaaS 사용자는 자신이 사용하는 소프트웨어가 어디에 위치하는지 어떤 언어로 개발되었는지 알 필요 없이
필요한 기능을 바로 사용할 수 있다.

공개 범위별 클라우드 서비스

퍼블릭 클라우드

인터넷 상 누구나 공개된 서비스로 인터넷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프라이빗 클라우드

기업 및 기관에서 폐쇄 네트워크 망에 구축하여 제한된 사용자만 접근을 허용하는 서비스이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퍼블릭과 프라이빗이 결합된 형태의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이다.

서버 가상화 기술

하이퍼바이저

서버 가상화에서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서버를 호스트 os라고 하고,
사상으로 제공되는 서버를 가상서버 os라고 한다.
물리적인 서버를 가상화하는 기술을 하이퍼바이저 라고 한다.

하이퍼바이저 유형

native 방식

가상머신모니터를 물리적 하드웨어에 직접 설치하는 방식으로 호스트os가 필요 없다.
때문에 호스트 os가 필요한 가상화 방식에 비교하여 자원이 절약된다.

hosted 방식

기존 운영체제 위에 설치되는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VMWare의 workstation이 이에 해당된다.

서버 가상화 방식 종류

전가상화

하드웨어를 완전하게 가상화하는 방식으로 게스트 os는 하드웨어를 직접 소유하고 접근하는 것으로 인식하지만
사실 가상 서버는 하이퍼바이저가 하드웨어를 에뮬레이션한 자원을 사용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native방식이 전가상화에 해당된다.

반가상화

하드웨어를 완전히 가상화하지 않으며 게스트 os가 하드웨어 자원을 접근하기 위해서는 하이퍼바이저를 경유해야 한다.
하드웨어 에뮬레이션을 하지 않고 하이퍼바이저를 통해서 제어하기 때문에 높은 성능을 제공한다.
하지만 os 커널 일부분을 수정해야 해서 오픈소스 os만 사용 가능하다.

os레벨 가상화

os상에서 같은 os를 하나 더 사용하는 것처럼 꾸며주는 가상화 기술이다.
하이퍼바이저를 사용하지 않고 os에 포함된 가상화 기술을 사용한다.

클라우드 플랫폼

클라우드 플랫폼은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와 같은 리소스들을 모으고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오픈스택

퍼블릭 및 프라이빗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모든 소프트웨어 블록을 개발하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이다.

클라우드 스택

cloud.com에 의해 개발되고 citrix 에 의해 아파치 재단에서 관리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오픈소스이다.

쿠버네티스

구글이 자사 서비스를 위해 개발했던 노하우를 공개한 플랫폼

반응형